springboot(2)
-
[ Gradle ] Spring Boot 실행 시 포트 지정 하는 방법
프로젝트 내 설정값이나 IDE 기능으로 할 수 있지만 명령어 한 줄로 실행하는 방법 두 가지를 소개하겠습니다. 1. gradle 프로젝트 폴더 위치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gradlew bootrun --args ' --server.port=9003' 2. jar 프로젝트 폴더 위치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gradlew clean bootJar 성공하게 되면 프로젝트 폴더 내에 build/libs 경로로 SNAPSHOT.jar 파일이 생성됩니다. libs 폴더로 이동하여 다음과 같이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3번째 줄 처럼 명령어가 안 먹히면 -Dserver 앞에 백틱(`)문자를 입력해줍니다. java -jar -Dserver.port=9004 user-service-0.0.1-SNAPSH..
2024.03.13 -
[Spring Boot] Thymeleaf 사용 시 표준 에러페이지 구현
Spring Boot에서 Thymeleaf를 사용할 때 기본적인 에러 페이지를 구현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src/main/resources/templates 디렉토리에 error.html 파일을 생성합니다. 이 파일은 Spring Boot의 내장된 템플릿 엔진인 Thymeleaf에서 자동으로 인식되어 에러페이지로 사용됩니다. 2. error.html 파일에 다음과 같이 Thymeleaf 문법을 사용하여 에러 정보를 출력합니다. Error 3. 이제 애플리케이션에서 에러가 발생하면, Spring Boot는 자동으로 error.html 파일을 렌더링하고, 에러 정보를 Thymeleaf 문법을 통해 출력합니다. 4. 추가로, 커스텀 에러 페이지를 사용하려면, @ControllerAdvice 어노테..
2023.03.17